정보 │ 제1회 《성북뮤지엄포럼》

성북구립미술관
성북근현대문학관

2025 제1회 《성북뮤지엄포럼》
「성북, 문화예술자원의 보존과 지역 뮤지엄의 미래」개최

● 성북구립미술관, …국내 최고 박물관,미술관 전문가 초청 지역 뮤지엄의 역할과 미래를 위한 학술 포럼 추진
● 성북구, ‘지붕없는 박물관’으로 풍부한 근현대 역사문화예술 자원 보유
● 예술가의 흔적과 소장품 확보, 문화예술 자산의 공공화 추진에 선도적 역할
… 지역 뮤지엄의 행보 중 모범적 사례 제시
● 문화예술 자원 주체, 지속적인 연대 체계 구축을 통한 문화벨트 조성
● ‘2026 성북아트위크’ 성공적 개최를 위한 선포식’ 열려…

■ 성북구립미술관(관장 김보라)은 오는 11월 20일 목요일, 고려대학교 백주년기념삼성관 국제원격회의실에서 “성북, 문화예술자원의 보존과 지역 뮤지엄의 미래”를 주제로 제1회 성북뮤지엄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포럼에는 성북의 문화적 가치와 뮤지엄 현황을 기조발제로 하여, 문화정책과 연계한 지역 단위 뮤지엄들의 지속적 역할 및 활성화 전략들을 풍부한 사례와 함께 소개된다. 또한 2부 종합토론에서는 성북구를 대표하는 뮤지엄들의 교류와 활성화를 위한 현실적인 제언들이 이어질 예정이다.

‘지붕없는 박물관’으로 불릴 정도로 풍부한 근현대 역사문화예술 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성북구는 조선시대 운종가(雲從街)로 불렸던 최고의 번화가 종로에 인접하면서 수려한 경관을 지녀, 수많은 예술가들의 작업이 활발히 이루어졌던 곳이다. 성북구에서도 특히 성북동은 서울 한양도성 밖 기준으로 문화재가 가장 많은 지역으로 2013년에 서울시 최초 이 지역을 ‘역사문화지구’로 지정하기도 했다. 현재도 간송미술관(보화각), 한국가구박물관, 최순우 옛집, 만해 한용운의 심우장 등 한국을 대표하는 박물관·미술관들과 대학 박물관, 갤러리, 문화공간 50여 곳이 분포하고 있다.

성북구(구청장 이승로)는 2009년 공립 미술관인 성북구립미술관을 열고 성북선잠박물관(2018), 최만린미술관(2020), 성북근현대문학관(2024) 등을 차례로 개관하였으며 서세옥미술관(예정)과 공공수장센터인 역사문화센터 추진을 준비중이다. 예술가의 흔적과 소장품 확보, 문화예술 자산의 공공화 추진에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어 자치구 단위에서는 유례없이 모범적인 사례로 평가받는다.

성북구립미술관은 성북구 주요 역사·문화·예술자산을 활용을 위한 연구 자료를 축적해오면서, 2025년을 관내 뮤지엄 간 실질적인 협의체 조성을 추진하는 원년으로 삼고 지역 뮤지엄 문화 활성화를 위한 행보를 지속할 계획이다. 2026년에는 지역 공사립 박물관 미술관뿐만 아니라 갤러리, 문화공간 등을 모두 포함한 예술축제인 “2026 성북아트위크”를 추진하여 확고한 문화브랜드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 김보라 성북구립미술관장은 “공립미술관으로서 지역을 위한 역할을 재정립하고 네트워크 구축 및 문화예술 서비스 향상을 위한 전략적 기반 마련의 일환”이라고 말하며 “미술관이 단순한 연구 및 여가시설에서 나아가 지역을 유지하고 공동체를 회복시키는 핵심 인프라로 기능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 포럼 개요
● 포럼명 : 제1회 《성북뮤지엄포럼》 「성북, 문화예술자원의 보존과 지역 뮤지엄의 미래」
● 주최 : 성북구, 성북문화재단
● 주관 : 성북구립미술관
● 일시 : 2025. 11. 20 (목) 14:00 – 17:30
● 장소 : 고려대학교 백주년기념삼성관 B1F 국제원격회의실
● 신청 : 구글폼 (https://forms.gle/P8qvXiNqJZkDHX3n9)
● 문의 : 02.6906.3139 (https://sma.sbculture.or.kr)

* 자료제공: 성북구립미술관

Feature
Editor’s Choice
Sponsored by
Sponsored by
Sponsored by
Sponsored by
Free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