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회 서울융합예술페스티벌 │ 언폴드엑스 2025

제4회 서울융합예술페스티벌 언폴드엑스 2025 《Let Things Go: 관계들의 관계》

《서울융합예술 페스티벌 언폴드엑스 2025 Let Things Go : 관계들의 관계》는 ‘페스티벌’의 순수성을 탐구하고, 축제의 본질이 지닌 근원적 감각 – 몸의 리듬, 관계의 진동, 집단적 기쁨 – 을 다시 호출하려 한다. 언어가 있기 전 인류는, 몸의 움직임, 제스처, 리듬, 목소리의 억양, 표정, 호흡의 패턴 등을 통해 공동체적 감각의 행위, 즉 ‘함께 느끼기’를 했었다. 그들에게 이러한 행위는 세계를 이해하는 공동의 수단이었고, 행위를 통해 발생하는 전율과 진동은 서로를 이해하는 사회적 기술이 되었다.

상상하건대, 어느 날 아름다운 붉은 노을이 누군가의 목소리를 자극했고, 그 소리가 다른 이의 몸을 움직이게 했으며, 그 움직임은 공기를 흔들고, 공기의 진동은 집단적 리듬을 만들었으리라. 개별적 영향이 서로에게 스며들며 관계를 만들고, 그 관계가 변형과 반복을 거쳐 집단의 기쁨, 즉 축제를 만들었을 것이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며 축제의 역할은 종교적 제의로, 위계와 맞서는 민중적 항거로, 자본과 기술의 정치적 도구로 변모했다. 축제는 유기적 연결망이기보다, 확정된 메시지를 전달하는 시스템처럼 기능하게 되었다. 인류학자 데이비드 그레이버는 페스티벌을 단순한 유희가 아닌, ‘일상의 규범과 위계가 뒤집히는 시간’이자 ‘다른 질서’를 예행 연습하는 실험의 장이라고 정의했다. 그의 말처럼, 느슨해진 질서 안에서 는 이 세계가 독립된 개체들의 나열이 아니라, 끊임없이 ‘서로를 매개하고 함께 변형되며 서로를 통해 다시 재조립’되고 있음을 강조하고자 한다. 는 ‘차이’에 대한 인정과 받아들임의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사회학자 브루노 나투르의 “사회란 우리를 결속시키는 어떤 것이 아니라, 결속되어 가는 그 과정 자체이다.”의 말처럼, 올해 언폴드엑스 페스티벌은 완성된 결과들의 전시이기 보다는, 참여하는 모든 것들이 사람, 기술, 사물, 공간, 소음, 진동, 시선, 전기회로, 개념, 행위 등 동등한 행위자로서 서로를 매개하며 유기적인 연결망을 생성해 내는 ‘과정’에 더 큰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축제 기간 13일 내내, 이 과정이 멈추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전시뿐만 아니라 저녁 공연, 시네마, 토크 등의 다양한 해프닝 등을 구성했다. 지구상 존재하는 모든 춤의 몸짓 언어들, 세계를 바라보는 미시적이고 거시적인 관점들, 비인간적 존재의 시선으로 바라본 인간의 역사, 기술로 쓰는 허구의 서사, 규범을 해체하는 성정체성의 감각 등, 예술과 기술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생성된 수많은 세계의 조각들을 ‘축제’라는 이름으로 다시 연결하고자 한다.

■ 행사 정보

● 행사명 : 제4회 서울융합예술페스티벌 언폴드엑스 2025 《Let Things Go: 관계들의 관계》
● 행사기간 : 2025. 12. 9(화)~ 12. 21(일)
● 예술공간 : 서울 중구 통일로 1. 문화역서울284
● 메일 : hj***@******co.kr
● 홈페이지: https://unfoldx.org/
● 주최 : 서울문화재단

* 자료제공: 주식회사마인드디자인

■ 공간 안내

상세정보
네이버 예약
무료

    상세정보
    + QR 코드 공유하기

    QR Code

    * QR 코드를 저장하여 온오프라인 홍보물에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Sponsored by

    Sponsored 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