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스까페아르 개인전 ≪낯선 평온≫
■ 작가노트
나는 늘 욕망과 두려움이 교차하는 지점에 서서 바라보길 좋아했다. 편리함을 좇는 욕망은 우리를 앞으로 밀어내지만, 그 끝에는 감시와 통제라는 또 다른 두려움이 기다리고 있다. 편리를 약속하는 기술은 우리의 자유를 제한하고 지극히 개인적인 공간에서 우리를 밀어내고 있다. 각종 스마트 기기와 CCTV, 초연결 사회의 그늘 속에서 우리는 점점 더 쉽게 타인에게 노출된다. 욕망에 기인한 두려움은 정치 제도에서도 다르지 않다. 민주주의는 평온을 이야기하지만, 그 평온은 언제든 흔들릴 수 있다. 안정된 듯 보이는 제도도 한순간에 균열을 드러낼 수 있으며, 결국 우리가 믿어온 시스템은 절대적이지 않다. 그 평온은 언제나 균열 위에 위태롭게 서 있는 것이다.
올해 나는 스스로 낯설게 느껴지는 시간을 지내왔다. 익숙했던 삶의 형태가 무너지고, 거울 속의 내가 더 이상 예전의 나 같지 않았다. 자화상은 그 낯섦의 기록이다. 변화와 상실, 그리고 다시 서야 하는 과정을 화폭에 담으며, 개인적 삶의 균열과 동시대의 불안이 서로 닮아 있음을 느꼈다. 사회적 균열과 개인적 균열은 결국 하나의 감각으로 겹쳐져 있다. 지난해의 개인전 「겹쳐진 묵시」가 욕망으로 무너지는 생태와 지구의 아포칼립스를 다뤘다면, 이번 전시 「낯선 평온」은 그 이후의 세계를 묻는다. 파괴 이후 남겨진 자리에서 우리는 어떤 풍경을 마주하게 될까. 해마다 뜨거워지는 지구, 인간이 물러난 자리에는 무엇이 남을까. 이미 되돌릴 수 없는 변화 앞에서 자연은 본래의 모습을 되찾을지, 아니면 전혀 다른 풍경으로 변할지 알 수 없다.
이번 전시는 평온이라는 이름 아래 감춰진 불안과 균열을 드러내고자 한다. 그 불안은 위협이면서 동시에 또 다른 시작을 상상하게 하는 문이다.
■ Artist Note ≪Uncanny Calm≫
I have often found myself standing at the point where desire and fear intersect. The pursuit of convenience pushes us forward, yet at its end waits another fear—surveillance and control. Technologies that promise ease also restrict our freedom and encroach upon even the most private spaces. Under the shadow of countless smart devices, CCTV cameras, and a hyper-connected society, we become ever more exposed to the gaze of others. Fear born of desire is no different within political systems. Democracy speaks of calm, but that calm can be shaken at any moment. Institutions that appear stable can fracture in an instant, and the systems we have trusted are never absolute. That calm has always stood precariously upon fractures.
This year I have lived through a time in which I felt estranged from myself. The familiar shape of life collapsed, and the figure in the mirror was no longer the one I once knew. The self-portrait became a record of that estrangement. On canvas I have traced change, loss, and the effort to begin again, sensing how the fractures of private life resemble the anxieties of our time. Social fractures and personal fractures converge into a single perception. If last year’s solo exhibition Overlapped Apocalypse explored the ecological collapse and apocalypse born of desire, then Uncanny Calm asks about the world that follows. What landscapes remain after destruction? On an earth that grows hotter with each passing year, what will inhabit the place where humans recede? Faced with irreversible change, will nature return to its original form, or transform into something wholly unfamiliar?
This exhibition seeks to reveal the unease and fractures concealed beneath the name of calm. Beneath a seemingly placid surface lies a constant trembling. That unease is both a threat and a threshold—a door through which we might imagine another beginning.

■ 전시 개요
● 일정 : 2025. 10. 04. – 10. 13.
● 주소: 서울시 종로구 윤보선길 72. 갤러리담(Gallery Dam)
● 이메일: gallerydam@naver.com
● 문의 : 갤러리담 (☎ 02-738-2745)
* 자료제공: 에스까페아르
■ 공간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