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 《초록이가 거짓말을 하면 우린 모두 박수를 치는 거야》
“이 조명이 안 꺼졌으면. 난 이게 아니면 아무것도 아닌데.”
현실을 감당하지 못하고 꿈속에 머무는 초록.
꿈속의 숲에서 초록은 잠에서 깨지 않기 위해 끝없는 연극을 한다.
기쁨이 없는 아이도, 사랑받지 못한 아이도, 어른이 될 수 있을까?
누구나 행복할 수 있나? 누구나 똑같이 성장기를 극복할 수 있나?
그러지 못한 아이들은 어떻게 되었으며, 지금 어디로 갔을까?
“나는 진짜 이름도 초록이 아닌데.”
무대 위에 있는 건 배우일까, 캐릭터일까?
그들의 이야기는 방백일까, 독백일까?
연기와 실제 사이, 드라마와 다큐멘터리 사이 중간지대에서만 찾을 수 있는 진실을 지향한다. 극장은 초록의 마음이 되고 박수는 연극의 끝과 동시에 초록의 생존 장치가 되어 다음 연극을 준비한다.
“자, 조용! 수업 시작하자”
초록은 매일 밤 뒷산에 선생님을 묻어 버리지만 다음 날도 그 다음 날도 되돌아온다. 초록에게 이 연극은 아무리 벗어나려 발버둥쳐도 끝나지 않는 좀비 호러물 같다.
현실의 끔찍한 존재들은 결국 꿈속의 연극에서도 배역을 받는다. 어른이 된 지금도 불현듯 되돌아오는 존재들에 대한 공포를 희극적으로 풀어낸다.
■ 시놉시스
학교 뒷산, 커다란 나무가 있다.
초록은 연두와 함께 몇 번이고 담임선생님을 그 아래 묻어버린다.
하지만 다음 날도 그 다음 날도 계속해서 멀쩡하게 출근하는 선생님의 모습에
자신이 보는 모든 것을 의심하기 시작한다.
끝내 친구인 연두에게조차 이상함을 느끼지만
새 친구인 녹색과 학교 생활을 유지하려 애쓴다.
어느 날 녹색은 초록에게 정말 친한 친구라면 집에 놀러 가야 한다 말하고,
초록은 급히 뒷산에 달려가 묻어둔 엄마와 아빠를 꺼내 온다.
세 사람은 함께 행복한 가정을 표방하며 연극을 해보지만
그마저도 잘 풀리지 않자 초록의 마음은 무너져 내리기 시작한다.
■ 참고 작품
– 인사이드 아웃(Inside Out) / 애니메이션, 2015, 94분
작품을 쓰기 전 가장 전복시키고 싶었던, 전세계적으로 성공한 상업 애니메이션이다. 누군가에겐 기쁨이란 감정이 없는 성장기도 있다. 그린 듯한 해피엔딩에 반발심이 생겨났다. <초록이>는 이 애니메이션과 정반대에 있는 이야기다.
– 양철북(The Tin Drum) / 드라마, 1988, 145분
주인공 오스카는 세상의 부조리를 거부하고 성장을 멈춘다. 전쟁이라는 비극 안에서 자라난 아이들에게는 이미 익숙한 일일지도 모른다. 오스카의 눈에 비친 정상적으로 살 수 없는 세상의 모습이 우리가 살아가는 현대와 다를 바 없다고 느꼈다. 장면 구성에 많은 영감을 준 작품이다.
– 보 이즈 어프레이드(BEAU IS AFRAID) / 블랙 코미디, 2023, 179분
‘불안의 대서사시’라 불리는 영화. 보의 여행기를 따라 끝없는 불안감에 시달리며 진짜인지 가짜인지 모를 이야기들과 싸워 나간다. 이것은 아주 잔혹한 진실의 이미지들이다. 불안과 공포를 평생 이겨내지 못하고 살아가는 사람들이 있다. 현실과 판타지를 오가는 부분들이 일부 장면의 레퍼런스가 되었다.
■ 주은길 청소년극 시리즈
이 작품은 2024년 극단 공놀이클럽의 ‘안 착한 청소년극 페스티벌’을 통해 처음 공개했다. ‘안 착한’과 ‘청소년’을 떠올리면 으레 학교폭력, 비행청소년 같은 이야기를 상상하지만 여기에서의 ‘착함’은 어디까지나 어른의 시선일 뿐이다. 주은길의 청소년극은 청소년 문제에 대해 어른의 시각으로 바라보기를 중단하고 청소년 본인에게서 출발하는 ‘착해질 수 없는’ 청소년들의 이야기를 그린다.
– <초록이가 거짓말을 하면 우린 모두 박수를 치는 거야>
– (발표 예정) <등산하는 아이들>
– (발표 예정) <파도 파도 파도>
■ 불온한 상상력, 그린피그
생각이 세상을 바꾼다는 신념과 뜨거운 감성을 가진 새로운 연극을 하고자 모인 사람들입니다.
의심 없이 혹은 하지 않고 진행되는 우리 문명에 대한 진단을 하는 연극을 찾고자 모인 사람들입니다.
주제와 예술형식의 진보를 고민하는 연극을 하고자 모인 사람들입니다.
그린피그의 작업은 저항 혹은 엑소더스를 위한 매뉴얼 혹은 도구입니다.
*본 공연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25년 청년예술가도약지원>을 통해 제작하였습니다.
■ 공연정보
● 일시: 22025. 8. 22. ~ 8. 31.
● 장소: 서울시 마포구 백범로 35. 서강대학교 메리홀 소극장
● 주최: 주은길, 그린피그
● 문의메일 : worthwhile@staffseoul.com
● 문의전화 : 070-4185-4527
● 후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자료제공: 극단 그린피그
■ 공간 안내